생각에 대한 생각 - 제4부: 선택
“합리적인 선택은 언제나 가능할까?”
본문 요약
이 파트에서는 사람들이 어떻게 선택을 하고, 왜 비합리적인 결정을 반복하는지를 설명합니다. 특히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가 공동 개발한 **전망 이론(Prospect Theory)**이 핵심입니다.
● 주요 개념과 사례
1. 전망 이론 (Prospect Theory)
사람들은 이득보다 손실을 더 크게 느낀다
예: 10만 원을 얻는 기쁨보다, 10만 원을 잃는 고통이 더 크다
이로 인해 이익을 얻을 땐 보수적, 손실을 피하려 할 땐 과감한 선택을 하게 됨
2. 참조점(reference point)의 영향
사람은 절대적인 가치를 기준 삼지 않고, 현재 상태나 기대치와의 차이로 판단함
예: 연봉이 1억이어도 주변이 1.5억이면 박탈감을 느낌
3. 프레이밍 효과 (Framing Effect)
같은 정보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선택이 달라짐
예: “90% 생존률”과 “10% 사망률”은 논리적으로 같지만, 감정적 반응은 다름
4. 소유 효과 (Endowment Effect)
내가 가진 것은 더 높은 가치로 평가하는 경향
예: 내가 산 머그컵은 실제 가격보다 비싸게 느껴짐
---
실천 팁
1. 손실 회피 성향을 인지하라
→ "내가 이 선택을 하는 이유가 단지 손실이 싫어서일까?" 스스로 질문해보세요.
2. 의사결정 시 ‘표현 방식’에 주의하라
→ 긍정적, 부정적 표현 중 어느 쪽에 흔들리는지 인식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3. 참조점을 재설정하는 훈련을 하라
→ 비교 대상이 아니라, 자신의 절대적 목표와 기준을 먼저 설정해보세요.
---
댓글 유도 문구
여러분은 손해를 피하려다 더 큰 손실을 본 경험이 있으신가요?
혹은 같은 상황인데 표현 방식 때문에 선택이 달라졌던 적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!
#대니엘카너먼#생각에관한생각
'여행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선왕릉 숲길8개소 개방 (2) | 2025.05.12 |
---|---|
생각에 대한 생각 5부 두자아 (0) | 2025.05.12 |
폐가 안좋을 때 증상과 대처법 (2) | 2025.05.11 |
Top of the World by Carpenters (0) | 2025.05.11 |
안개속에서-헤르만 헤세 (0) | 2025.05.11 |